(하노이=베트남코리아타임즈) 제임스 H 오닐 에디터 = 한국-베트남 외교장관 회담 참석차 베트남을 방문한 박진 외교부 장관이 18일 베트남의 주요 인사 및 당 지도부와 잇달아 만남을 가졌다.
박 장관은 응우옌 쑤언 푹(Nguyen Xuan Phuc) 국가주석과 팜 민 찐(Pham Minh Chinh) 총리를 예방한 데 이어 부이 탄 썬(Bui Thanh Son) 외교부 장관과 회담을 가졌다.
박 장관은 18일 오전 푹 주석을 만나 "윤 대통령이 양국 수교 30주년을 기념해 푹 주석을 공식적으로 한국에 초청하고자 한다"며 윤 대통령 친서를 전달했다.
이어서 오후에 개초된 외교장관 회담에서 양국 장관은 올해 수교 30주년을 맞아 기존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는데 합의하였다.
현재 베트남은 중국, 러시아, 인도 단 3개국과만 최고 수준의 대외 협력 관계에 해당하는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다.
이어서 유학생 교류, 공급망 확보 등 양국의 사회경제적 협력을 강화하고, 국방·안보 분야에서의 협력을 더욱 확대하자고 의견을 모았다.
박 장관은 특히 “베트남의 누적 투자액 1위국인 한국 기업의 베트남에서의 원만한 경영 활동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을 요청하였다.
이에 대해 선 장관은 “베트남 경제 발전과 양국 간의 경제협력에 있어 한국기업들의 기여를 높이 평가한다며, 적극 지원하겠다”고 화답하였다.
베트남은 한국과 국제결혼을 가장 많이 하는 국가이며, 베트남에 대한 누적 해외직접투자액(FDI) 1위 국가도 한국이다. 이러한 양국 간의 사회ㆍ경제적 교류 규모를 감안하면, 베트남과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의 격상은 지극히 당연한 수순으로 보여지는 것을 넘어 다소 늦은 감이 있다고 느껴질 정도이다.
양국 수교 30주년을 맞아, 올해 남은 기간 베트남 주석의 방한 등 양국 관계에 더욱 많은 이정표가 세워지길 바란다.
<저작권자(c) 베트남코리아타임즈,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