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베트남코리아타임즈) 응우옌 캉 (Nguyen Khang) 기자 = 베트남 국회가 첨단기술 기업에 부여했던 각종 인센티브 조항을 폐지하는 법률 개정에 착수하자, 삼성전자를 비롯한 다수의 외국계 투자기업이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고 로이터가 13일 보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베트남 국회는 일부 첨단기술 기업에 제공해온 세금·관세 감면, 토지 우대 등 ‘최고 수준의 인센티브’ 조항을 삭제하는 방향의 법률 개정안을 준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여러 투자 기업들이 직접 우려를 베트남 당국에 전달했다고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국인 관계자는 로이터에 “삼성전자가 우려를 제기한 기업 가운데 하나”라고 밝혔다. 로이터는 국회가 오는 12월 개정안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삼성전자는 현재 베트남 박닌성과 타이응우옌성에서 대규모 스마트폰 생산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베트남 내 최대 외국인 투자기업이자 수출 기여도가 가장 높은 기업 중 하나다.
“기존 기업 보조금에 큰 영향”…한국 기업 공동 우려 표출했다
고태연 주베트남 한국상공인연합회 회장은 지난 10일 베트남 정부 행사에서 “법률 개정은 과거에 승인했던 인센티브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고 회장은 이어 “이는 투자 확대나 기술 이전, 인적자원 개발 등 베트남이 추구하는 중장기 목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배경에는 미·중·한 무역 긴장과…"베트남 자국 기업 육성 필요 판단"
로이터는 이번 법 개정 추진 배경으로 “글로벌 무역 긴장이 고조되고 있고, 베트남 정부가 외국기업 중심 구조를 조정해 자국 기업을 육성할 필요성을 제기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베트남 정부는 이미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글로벌 최저 법인세 제도에 맞춰 15% 최저 법인세율을 도입하면서 삼성전자 등 외국계 기업에게 제공하던 세제 혜택의 상당 부분을 사실상 철회했다.
또한 로이터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베트남 내 한국 제조기업이 생산하는 전자부품에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전하며, 베트남 정부가 바뀌는 무역 환경에 대응하려는 의도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다만 익명의 한국인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아직 베트남에 투자 중단을 공식 통보한 적은 없다”고 덧붙여, 현지 생산기지 축소 가능성은 아직 제기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c) 베트남코리아타임즈,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